https://naver.me/xkIKGh7I
尹, '해결 의지' 천명한 세송이물망초 미착용
기시다는 '푸른 리본' 달고 나와 의지 보여줘
대통령실 "한번 달면 계속 달아야 하는 부담"
인권단체 "당연히 할 말도 못하는 직무 유기"
4년 반 만에 한·일·중 정상회의가 개최되며 역내 협력 모멘텀이 마련됐지만, 우리 납북자 문제는 다뤄지지 않았다. 윤석열 대통령이 '세송이물망초' 배지마저 착용하지 않으면서, 북한과 밀착해온 중국 앞에서 해결 의지를 보여줄 기회를 놓쳤다는 비판이 나온다. 반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푸른 리본'을 달고 나와 자국민에 대한 정부의 보호 의지를 보여줬다는 평가다.
28일 외교 당국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6~27일 서울에서 진행된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세송이물망초' 배지를 착용하지 않았다. 올해 3월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송환을 기원하며 정부가 제작한 것이다. '나를 잊지 마세요'라는 물망초의 꽃말에 담긴 의미를 차용했다. 윤 대통령은 당시 국무회의에서 "저를 포함한 모든 국무위원이 '아주 특별한 배지'를 가슴에 달았다"며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전원을 가족과 대한민국의 품으로 돌아오게 만들겠다는 의지가 담겼다"고 직접 소개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배지 착용'을 놓고 관계 부처 간 의견이 엇갈린 것으로 파악됐다. 통일부에선 '대통령이 배지를 달고 정상회의 일정을 치러야 한다'는 건의가 올라갔지만, 대통령실 선에서 반대 의견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정상회의에서 '세송이물망초' 배지를 착용하는 게 의미가 있겠다는 의견이 올라갔지만, 용산에서 반대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며 "(중국을 고려해도) 부담이 적고 배지를 다는 것만으로도 해결 의지를 표명하기 좋은 기회였는데 아쉬운 지점"이라고 했다.
윤석열 정부는 '가치 외교'를 기치로 내걸고 국제사회에서 인권 등 보편적 가치에 대해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대북 정책에선 '북한 인권'을 축으로 삼았고,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에 대한 정부 차원의 관심이 커진 것도 이런 맥락이 작용했다. 지난해 8월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의에선 3국 정상이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의 의지'를 확인했다. 이후 통일부는 장관 직속으로 '납북자 대책팀'을 신설했고, 같은 과제를 안고 있는 일본과 협력을 이어 왔다.
윤석열 대통령이 올해 3월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세송이물망초 배지를 달고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https://naver.me/xkIKGh7I
尹, '해결 의지' 천명한 세송이물망초 미착용
기시다는 '푸른 리본' 달고 나와 의지 보여줘
대통령실 "한번 달면 계속 달아야 하는 부담"
인권단체 "당연히 할 말도 못하는 직무 유기"
4년 반 만에 한·일·중 정상회의가 개최되며 역내 협력 모멘텀이 마련됐지만, 우리 납북자 문제는 다뤄지지 않았다. 윤석열 대통령이 '세송이물망초' 배지마저 착용하지 않으면서, 북한과 밀착해온 중국 앞에서 해결 의지를 보여줄 기회를 놓쳤다는 비판이 나온다. 반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푸른 리본'을 달고 나와 자국민에 대한 정부의 보호 의지를 보여줬다는 평가다.
28일 외교 당국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6~27일 서울에서 진행된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세송이물망초' 배지를 착용하지 않았다. 올해 3월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송환을 기원하며 정부가 제작한 것이다. '나를 잊지 마세요'라는 물망초의 꽃말에 담긴 의미를 차용했다. 윤 대통령은 당시 국무회의에서 "저를 포함한 모든 국무위원이 '아주 특별한 배지'를 가슴에 달았다"며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전원을 가족과 대한민국의 품으로 돌아오게 만들겠다는 의지가 담겼다"고 직접 소개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배지 착용'을 놓고 관계 부처 간 의견이 엇갈린 것으로 파악됐다. 통일부에선 '대통령이 배지를 달고 정상회의 일정을 치러야 한다'는 건의가 올라갔지만, 대통령실 선에서 반대 의견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정상회의에서 '세송이물망초' 배지를 착용하는 게 의미가 있겠다는 의견이 올라갔지만, 용산에서 반대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며 "(중국을 고려해도) 부담이 적고 배지를 다는 것만으로도 해결 의지를 표명하기 좋은 기회였는데 아쉬운 지점"이라고 했다.
윤석열 정부는 '가치 외교'를 기치로 내걸고 국제사회에서 인권 등 보편적 가치에 대해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대북 정책에선 '북한 인권'을 축으로 삼았고,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에 대한 정부 차원의 관심이 커진 것도 이런 맥락이 작용했다. 지난해 8월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의에선 3국 정상이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의 의지'를 확인했다. 이후 통일부는 장관 직속으로 '납북자 대책팀'을 신설했고, 같은 과제를 안고 있는 일본과 협력을 이어 왔다.